삼문 (三門)
상덕사로 들어가는 사당문으로 내삼문(內三門)이라고도 불린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삼문 형식으로 상덕사와 같은 시기에 지어졌다. 계단 때문에 문 안쪽과 높낮이의 차이가 생겨 전면 기둥을 1단 낮은 자리에 세웠다. 이러한 이유로 기단 아래까지 기둥이 내려오는 특이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역태극 문양에 단청을 하였다.
상덕사로 들어가는 사당문으로 내삼문(內三門)이라고도 불린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삼문 형식으로 상덕사와 같은 시기에 지어졌다. 계단 때문에 문 안쪽과 높낮이의 차이가 생겨 전면 기둥을 1단 낮은 자리에 세웠다. 이러한 이유로 기단 아래까지 기둥이 내려오는 특이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역태극 문양에 단청을 하였다.